Vanilla Javascript로 웹 컴포넌트 만들기
9월에 넥스트 스텝에서 진행하는 블랙커피 스터디에 참여했다. 이 포스트는 스터디 기간동안 계속 고민하며 만들었던 컴포넌트를 차근 차근 구현해보는 내용이다.
1. 컴포넌트와 상태관리
(1) 상태관리의 탄생
필자가 웹 개발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2012년도)에는 javascript를 공부할 때 제일 중요한게 jQuery 였다.
jQuery
- jQuery는 빠르고 작고 기능이 풍부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이다.
- jQuery API는 크로스 브라우징을 지원한다.
- DOM, Event, Animation 및 Ajax와 같은 작업을 훨씬 간단하게 만든다.
약 3년 동안 jQuery
만 주구장창 사용하면서 느낀 제일 큰 장점은 DOM API
라고 생각한다. jQuery
는 DOM
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에 더해 크로스 브라우징
과 관련된 이슈를 해결해주었다.
그런데 점점 브라우저와 Javascript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아예 브라우저(클라이언트) 단에서 렌더링을 하고, 서버에서는 REST API
혹은 GraphQL
같이 브라우저 렌더링에 필요한 데이터만 제공하는 형태로 기술이 변화했다.
이제는 직접적으로 DOM
을 다루는 행위가 급격하게 감소했고, 상태(State)
를 기준으로 DOM
을 렌더링 하는 형태로 발전한 것이다. DOM
이 변하는 경우가 State
에 종속 되어버린 것이다. 반대로 말하면, State
가 변하지 않을 경우 DOM
이 변하면 안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Client-Side Rendering
이라는 개념과 상태관리
라는 개념이 생기게 되었다.
SSR과 CSR
SSR(Server-Side Rendering)
- 약 5년전 까지만 해도
JSP
PHP
ASP
등이 웹 개발 3대장이라고 불렸다. - 위의 언급한 것들이 하는 역할이 바로 서버에서 HTML을 만들어서 클라이언트에 넘겨주는 것, 즉
Server Side Rendering
이다. - 따라서 클라이언트단(브라우저)에서는 굳이 데이터를 깊은 단계까지, 정교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었다.
CSR(Client-Side Rendering)
- Javascript가 발전하면서 아예 브라우저(클라이언트) 단에서 모든 렌더링을 처리 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었고, 그렇게
React
Angular
Vue
같은 프레임워크(혹은 라이브러리)가 탄생하였다. - 브라우저(클라이언트) 단에서 렌더리을 하기 위해선, 렌더링에 필요한 상태를 정교하게 관리해야 한다.
- 그래서
Redux
같은 상태관리 라이브러리(혹은 프레임워크)가 생겨났다.
- TECH CONCERT: FRONT END 2019 - 데이터 상태 관리. 그것을 알려주마를 보면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다.
(2) 컴포넌트
Angular
가 CSR
의 시작이었다면, React
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의 시작이었다. 그리고 Angular
와 React
의 장점을 모두 수용한 Vue
가 나왔다.
어쨌든 중요한 점은 현 시점의 웹 어플리케이션은 컴포넌트 단위로 설계되고 개발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컴포넌트마다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때 필요한 상태를 관리하게 되었으며, Proxy
혹은 Observer Pattern
등을 이용하여 이를 구현한다.
이론에 대해 다루자면 한도 끝도 없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코드로 이야기 하겠다.
2. state - setState - render
컴포넌트의 설계의 기반이 되는 코드를 만들어보자.
(1) 기능 구현
먼저 간단한게 setState
라는 메소드를 통해서 state
를 기반으로 render
를 해주는 코드를 만들어보자.
<div id="app"></div>
<script>
const $app = document.querySelector('#app');
let state = {
items: ['item1', 'item2', 'item3', 'item4']
}
const render = () => {
const { items } = state;
$app.innerHTML = `
<ul>
${items.map(item => `<li>${item}</li>`).join('')}
</ul>
<button id="append">추가</button>
`;
document.querySelector('#append').addEventListener('click', () => {
setState({ items: [ ...items, `item${items.length + 1}` ] })
})
}
const setState = (newState) => {
state = { ...state, ...newState };
render();
}
render();
</script>
이 코드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state
가 변경되면render
를 실행한다.state
는setState
로만 변경해야 한다.
이러한 규칙을 지켜가면서 코드를 작성한다면, 브라우저 출력되는 내용은 무조건 state
에 종속되는 것이다. 즉, DOM
을 직접적으로 다룰 필요가 없어진다.
(2) 추상화
앞서 작성한 코드를 class
문법으로 추상화시켜보자.
<div id="app"></div>
<script>
class Component {
$target;
state;
constructor ($target) {
this.$target = $target;
this.setup();
this.render();
}
setup () {};
template () { return ''; }
render () {
this.$target.innerHTML = this.template();
this.setEvent();
}
setEvent () {}
setState (newState) {
this.state = { ...this.state, ...newState };
this.render();
}
}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setup () {
this.state = { items: ['item1', 'item2'] };
}
template () {
const { items } = this.state;
return `
<ul>
${items.map(item => `<li>${item}</li>`).join('')}
</ul>
<button>추가</button>
`
}
setEvent () {
this.$target.querySelector('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t { items } = this.state;
this.setState({ items: [ ...items, `item${items.length + 1}` ] });
});
}
}
new App(document.querySelector('#app'));
</script>
컴포넌트 클래스를 작성해놨더니 조금 더 유연하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 컴포넌트 코드의 사용 방법을 강제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를 유지보수하고 관리할 때 매우 이롭다.
(3) 모듈화
보통 한 파일안에 모든 기능을 작성하는 경우는 없을 것이므로 앞서 작성한 코드를 다음과 같이 분할해보자.
.
├── index.html
└── src
├── app.js # ES Module의 entry file
├── components # Component 역할을하는 것들
│ └── Items.js
└── core # 구현에 필요한 코어들
└── Component.js
이 때 브라우저 모듈을 사용할 것이다.
- index.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Simple Component 2</title>
</head>
<body>
<div id="app"></div>
<script src="./src/app.js" type="module"></script>
</body>
</html>
- src/app.js
import Items from "./components/Items.js";
class App {
constructor() {
const $app = document.querySelector('#app');
new Items($app);
}
}
new App();
- src/components/Items.js
import Component from "../core/Component.js";
export default class Items extends Component {
setup () {
this.state = { items: ['item1', 'item2'] };
}
template () {
const { items } = this.state;
return `
<ul>
${items.map(item => `<li>${item}</li>`).join('')}
</ul>
<button>추가</button>
`
}
setEvent () {
this.$target.querySelector('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t { items } = this.state;
this.setState({ items: [ ...items, `item${items.length + 1}` ] });
});
}
}
- src/core/Component.js
export default class Component {
$target;
state;
constructor ($target) {
this.$target = $target;
this.setup();
this.render();
}
setup () {};
template () { return ''; }
render () {
this.$target.innerHTML = this.template();
this.setEvent();
}
setEvent () {}
setState (newState) {
this.state = { ...this.state, ...newState };
this.render();
}
}
3. 이벤트 처리
(1) 불편함을 감지하기
앞서 작성한 코드를 사용하면 render
를 실행할 때 마다 이벤트가 새로 등록된다.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요소에 대해 각각 이벤트를 등록해야 할 땐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각각의 아이템에 대한 삭제
기능을 추가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된다.
import Component from "../core/Component.js";
export default class Items extends Component {
setup () {
this.state = { items: ['item1', 'item2'] };
}
template () {
const { items } = this.state;
return `
<ul>
${items.map((item, key) => `
<li>
${item}
<button class="deleteBtn" data-index="${key}">삭제</button>
</li>
`).join('')}
</ul>
<button class="addBtn">추가</button>
`
}
setEvent () {
this.$target.querySelector('.addBtn').addEventListener('click', () => {
const { items } = this.state;
this.setState({ items: [ ...items, `item${items.length + 1}` ] });
});
this.$target.querySelectorAll('.deleteBtn').forEach(deleteBtn =>
deleteBtn.addEventListener('click', ({ target }) => {
const items = [ ...this.state.items ];
items.splice(target.dataset.index, 1);
this.setState({ items });
}))
}
}
(2) 이벤트 버블링
이 때 다음과 같이 이벤트 버블링을 사용한다면 훨씬 직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export default class Items extends Component {
setup () {/* 생략 */}
template () { /* 생략 */}
setEvent () {
// 모든 이벤트를 this.$target에 등록하여 사용하면 된다.
this.$target.addEventListener('click', ({ target }) => {
const items = [ ...this.state.items ];
if (target.classList.contains('addBtn')) {
this.setState({ items: [ ...items, `item${items.length + 1}` ] });
}
if (target.classList.contains('deleteBtn')) {
items.splice(target.dataset.index, 1);
this.setState({ items });
}
});
}
}
다만, 기존의 setEvent
는 render
를 할 때 마다 실행하기 때문에, core/Component.js
에 라이프 사이클
을 변경해야 한다.
export default class Component {
$target;
state;
constructor ($target) {
this.$target = $target;
this.setup();
+ this.setEvent(); // constructor에서 한 번만 실행한다.
this.render();
}
setup () {};
template () { return ''; }
render () {
this.$target.innerHTML = this.template();
- this.setEvent();
}
setEvent () {}
setState (newState) {
this.state = { ...this.state, ...newState };
this.render();
}
}
- event를 각각의 하위 요소가 아니라 component의 target 자체에 등록하는 것이다.
- 따라서 component가 생성되는 시점에만 이벤트 등록을 해놓으면 추가로 등록할 필요가 없어진다.
(3) 이벤트 버블링 추상화
그리고 이벤트 버블링을 통한 등록 과정을 메소드로 만들어서 사용하면 코드가 더 깔끔해진다.
export default class Component {
$target;
state;
constructor ($target) { /* 생략 */ }
setup () { /* 생략 */ }
template () { /* 생략 */ }
render () { /* 생략 */ }
setEvent () { /* 생략 */ }
setState (newState) { /* 생략 */ }
addEvent (eventType, selector, callback) {
const children = [ ...this.$target.querySelectorAll(selector) ];
this.$target.addEventListener(eventType, event => {
if (!event.target.closest(selector)) return false;
callback(event);
})
}
}
이렇게 작성한 메소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
export default class Items extends Component {
setup () { /* 생략 */ }
template () {/* 생략 */ }
setEvent () {
this.addEvent('click', '.addBtn', ({ target }) => {
const { items } = this.state;
this.setState({ items: [ ...items, `item${items.length + 1}` ] });
});
this.addEvent('click', '.deleteBtn', ({ target }) => {
const items = [ ...this.state.items ];
items.splice(target.dataset.index, 1);
this.setState({ items });
});
}
}
4. 컴포넌트 분할하기
이제 컴포넌트 단위로 구분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1) 기능 추가
현재 까지의 코드에서는 컴포넌트를 분리할 이유가 없는 상태이다. 그래서 Items
컴포넌트에 toggle
, filter
등의 기능을 추가 했을 때 먼저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야한다.
export default class Items extends Component {
get filteredItems () {
const { isFilter, items } = this.state;
return items.filter(({ active }) => (isFilter === 1 && active) ||
(isFilter === 2 && !active) ||
isFilter === 0);
}
setup() {
this.state = {
isFilter: 0,
items: [
{
seq: 1,
contents: 'item1',
active: false,
},
{
seq: 2,
contents: 'item2',
active: true,
}
]
};
}
template() {
return `
<header>
<input type="text" class="appender" placeholder="아이템 내용 입력" />
</header>
<main>
<ul>
${this.filteredItems.map(({contents, active, seq}) => `
<li data-seq="${seq}">
${contents}
<button class="toggleBtn" style="color: ${active ? '#09F' : '#F09'}">
${active ? '활성' : '비활성'}
</button>
<button class="deleteBtn">삭제</button>
</li>
`).join('')}
</ul>
</main>
<footer>
<button class="filterBtn" data-is-filter="0">전체 보기</button>
<button class="filterBtn" data-is-filter="1">활성 보기</button>
<button class="filterBtn" data-is-filter="2">비활성 보기</button>
</footer>
`
}
setEvent() {
this.addEvent('keyup', '.appender', ({ key, target }) => {
if (key !== 'Enter') return;
const {items} = this.state;
const seq = Math.max(0, ...items.map(v => v.seq)) + 1;
const contents = target.value;
const active = false;
this.setState({
items: [
...items,
{seq, contents, active}
]
});
});
this.addEvent('click', '.deleteBtn', ({target}) => {
const items = [ ...this.state.items ];;
const seq = Number(target.closest('[data-seq]').dataset.seq);
items.splice(items.findIndex(v => v.seq === seq), 1);
this.setState({items});
});
this.addEvent('click', '.toggleBtn', ({target}) => {
const items = [ ...this.state.items ];
const seq = Number(target.closest('[data-seq]').dataset.seq);
const index = items.findIndex(v => v.seq === seq);
items[index].active = !items[index].active;
this.setState({items});
});
this.addEvent('click', '.filterBtn', ({ target }) => {
this.setState({ isFilter: Number(target.dataset.isFilter) });
});
}
}
이렇게 Items 컴포넌트가 무언가 많은 일을 하게 되었다. 이럴 경우 코드를 관리하기 힘들고, 컴포넌트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컴포넌트 단위로 활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린다.
기본적으로 컴포넌트 라는 것은 "재활용"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선 하나의 컴포넌트가 최대한 작은 단위의 일을 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2) 폴더 구조
다음과 같이 폴더 및 파일을 구성해보자.
.
├── index.html
└── src
├── App.js # main에서 App 컴포넌트를 마운트한다.
├── main.js # js의 entry 포인트
├── components
│ ├── ItemAppender.js
│ ├── ItemFilter.js
│ └── Items.js
└── core
└── Component.js
- 기존의 entry point가 app.js에서 main.js가 되었다
App Component
를 추가했다.Items
에서ItemAppender
,ItemFilter
등을 분리했다.
(3) Component Core 변경
그리고 src/core/Component.js
에 다음과 같이 props
와 mounted
를 추가해야 한다.
export default class Component {
$target;
props;
state;
constructor ($target, props) {
this.$target = $target;
this.props = props; // props 할당
this.setup();
this.setEvent();
this.render();
}
setup () {};
mounted () {};
template () { return ''; }
render () {
this.$target.innerHTML = this.template();
this.mounted(); // render 후에 mounted가 실행 된다.
}
setEvent () {}
setState (newState) { /* 생략 */ }
addEvent (eventType, selector, callback) { /* 생략 */ }
}
mounted
를 추가한 이유는 render 이후에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props
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게 상태 혹은 메소드를 넘겨주기 위해서이다.
(4) Entry Point 변경
index.html
: 기존에 app.js가 아닌 main.js를 가져온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Simple Component 8</title>
</head>
<body>
<h1>Example #8</h1>
<div id="app"></div>
-<script src="src/app.js" type="module"></script>
+<script src="src/main.js" type="module"></script>
</body>
</html>
src/main.js
import App from './App.js';
new App(document.querySelector('#app'));
(5) 컴포넌트 분할
기존의 Items
에 존재하던 로직을 App.js
에 넘겨주고, Items
, ItemAppender
, ItemFilter
등은 App.js
에서 넘겨주는 로직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src/App.js
import Component from "./core/Component.js";
import Items from "./components/Items.js";
import ItemAppender from "./components/ItemAppender.js";
import ItemFilter from "./components/ItemFilter.js";
export defaul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setup () {
this.state = {
isFilter: 0,
items: [
{
seq: 1,
contents: 'item1',
active: false,
},
{
seq: 2,
contents: 'item2',
active: true,
}
]
};
}
template () {
return `
<header data-component="item-appender"></header>
<main data-component="items"></main>
<footer data-component="item-filter"></footer>
`;
}
// mounted에서 자식 컴포넌트를 마운트 해줘야 한다.
mounted () {
const { filteredItems, addItem, deleteItem, toggleItem, filterItem } = this;
const $itemAppender = this.$target.querySelector('[data-component="item-appender"]');
const $items = this.$target.querySelector('[data-component="items"]');
const $itemFilter = this.$target.querySelector('[data-component="item-filter"]');
// 하나의 객체에서 사용하는 메소드를 넘겨줄 bind를 사용하여 this를 변경하거나,
// 다음과 같이 새로운 함수를 만들어줘야 한다.
// ex) { addItem: contents => addItem(contents) }
new ItemAppender($itemAppender, {
addItem: addItem.bind(this)
});
new Items($items, {
filteredItems,
deleteItem: deleteItem.bind(this),
toggleItem: toggleItem.bind(this),
});
new ItemFilter($itemFilter, {
filterItem: filterItem.bind(this)
});
}
get filteredItems () {
const { isFilter, items } = this.state;
return items.filter(({ active }) => (isFilter === 1 && active) ||
(isFilter === 2 && !active) ||
isFilter === 0);
}
addItem (contents) {
const {items} = this.state;
const seq = Math.max(0, ...items.map(v => v.seq)) + 1;
const active = false;
this.setState({
items: [
...items,
{seq, contents, active}
]
});
}
deleteItem (seq) {
const items = [ ...this.state.items ];;
items.splice(items.findIndex(v => v.seq === seq), 1);
this.setState({items});
}
toggleItem (seq) {
const items = [ ...this.state.items ];
const index = items.findIndex(v => v.seq === seq);
items[index].active = !items[index].active;
this.setState({items});
}
filterItem (isFilter) {
this.setState({ isFilter });
}
}
src/components/ItemAppender.js
import Component from "../core/Component.js";
export default class ItemAppender extends Component {
template() {
return `<input type="text" class="appender" placeholder="아이템 내용 입력" />`;
}
setEvent() {
const { addItem } = this.props;
this.addEvent('keyup', '.appender', ({ key, target }) => {
if (key !== 'Enter') return;
addItem(target.value);
});
}
}
src/components/Items.js
import Component from "../core/Component.js";
export default class Items extends Component {
template() {
const { filteredItems } = this.props;
return `
<ul>
${filteredItems.map(({contents, active, seq}) => `
<li data-seq="${seq}">
${contents}
<button class="toggleBtn" style="color: ${active ? '#09F' : '#F09'}">
${active ? '활성' : '비활성'}
</button>
<button class="deleteBtn">삭제</button>
</li>
`).join('')}
</ul>
`
}
setEvent() {
const { deleteItem, toggleItem } = this.props;
this.addEvent('click', '.deleteBtn', ({target}) => {
deleteItem(Number(target.closest('[data-seq]').dataset.seq));
});
this.addEvent('click', '.toggleBtn', ({target}) => {
toggleItem(Number(target.closest('[data-seq]').dataset.seq));
});
}
}
src/components/ItemFilter.js
import Component from "../core/Component.js";
export default class ItemFilter extends Component {
template() {
return `
<button class="filterBtn" data-is-filter="0">전체 보기</button>
<button class="filterBtn" data-is-filter="1">활성 보기</button>
<button class="filterBtn" data-is-filter="2">비활성 보기</button>
`
}
setEvent() {
const { filterItem } = this.props;
this.addEvent('click', '.filterBtn', ({ target }) => {
filterItem(Number(target.dataset.isFilter));
});
}
}
마치며
굉장히 핵심적인 내용만 간추려서 작성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기법이 많이 이용되지만,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어느 정도 역할에 맞게 컴포넌트 단위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Observer Pattern
이나 Proxy
혹은 Object.defineProperty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상태변화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는지 다뤄볼 예정이다.
전체 코드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